[사설]정부, 장애인체육정책 있기는 한가
상태바
[사설]정부, 장애인체육정책 있기는 한가
  • 편집부
  • 승인 2024.01.25 10:45
  • 수정 2024-01-25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 체육활동 지원’을 대선공약으로 내건 윤석열 정부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장애인체육회가 전국 등록 장애인 1만 명(만 10세~69세)을 대상으로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2022년 9월~2023년 8월 기준)를 한 결과, 장애인 10명 중 3명만이 생활체육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인 생활체육 관련 정보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은 23.0%에 불과했다. 이는 10명 중 8명이 ‘장애인 생활체육 관련 정보를 들어본 적이 없’다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도 정부는 정책 기조와 달리 2024년도 예산편성 과정에서 ‘생활체육’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정부의 장애인체육정책 비전이 보이지 않는 것도 문제다.

이번 조사 결과, 장애인들은 운동을 하지 않은 이유로 ‘운동을 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서’란 응답이 24.9%나 됐다. 주목할 것은 ‘몸이 안 좋아서’ 20.0%, ‘운동을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란 응답도 10.2%나 됐다는 점이다. 운동 유인책은 물론 여건조성,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이유다. 특히 장애인들이 운동 장소로 ‘근처 야외 등산로·공원’이란 답이 47.3%, ‘집안’이 10.5%인 반면, 체육시설 이용률은 15.3%에 불과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체육시설 이용률이 낮은 주요 이유로 29.9%가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 12.9%가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라고 답한 것은 정부의 정책 부재가 큰 원인이다. 장애인들이 마음 놓고 편안하게 운동할 수 있는 시설 확충과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장애인들이 운동을 하는 목적으로, ‘여가활동’이란 응답이 3.4%인 반면 ‘건강 및 체력관리’ 84.3%, ‘재활운동’ 11.3%란 응답에서 알 수 있듯이, 비장애인과 달리 장애인들에게 운동은 단순한 여가생활을 넘어 생존을 위한 필사의 수단인 셈이다. 그런 데도, 마음과 행동이 따로 노는 이유는 분명하다. 정부의 장애인체육정책이 겉돌고 있다는 방증이다. 정부는 2018년 평창동계패럴림픽을 계기로 장애인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키겠다며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하는 사회통합형 체육시설로 반다비센터를 건립해왔다. 2022년 광주광역시에 1호 반다비센터가 문을 연 후 현재 8곳 운영 중이다. 올해 15개소 건립을 지원할 계획이라지만 속도가 너무 더디다. 있는 곳조차 접근성이 떨어져 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들이 원하는 것은 명확하다. 평소 운동할 때 가장 지원받고 싶은 사항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응답자 37.5%가 ‘비용 지원’을 바랐다. 이어 ‘체육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16.0%,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 13.9%,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 12.0% 등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에서 “스포츠는 국민 심신을 단련시켜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국민 개개인에게는 문화적 기본권”이라며, “국민 누구나 스포츠 권리를 공정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역 인프라를 확충하고 특히 소외계층과 장애인의 스포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천명했다. 더는 빈말이 아니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