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P-43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 변화
상태바
TDP-43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 변화
  • 이재상 기자
  • 승인 2018.03.29 09:31
  • 수정 2018-03-29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영국 공동 연구팀, 치매·루게릭병 원인 규명
유전자 자기조절 기능 고장 일으켜 단백질 과잉발현 초래
한국-영국 공동 연구팀, 치매·루게릭병 원인 규명
김어수 교수, “치매-루게릭병 신약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
 
 
 국내 연구진이 영국의 공동 연구팀과 함께  전두엽 치매 및 루게릭병의 인지행동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하고, 퇴행성 뇌질환 동물모델 인지행동 평가기술을 개발했다고 보건복지부가 지난 28일 밝혔다.
 전두(측두)엽 치매(FTD)는 치매의 일종으로 뇌의 전두엽 및 측두엽이 퇴화되고 신경세포가 상실되는 장애. 기억력 감퇴가 큰 알츠하이머치매에 비해 성격, 행동, 언어 장애, 근육위축 등이 발생한다.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은 운동신경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근육이 딱딱해지고 결국엔 온 몸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질병이다.
 연세대학교 김어수 교수팀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및 런던 킹스 대학 연구팀은 “TDP-43(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로, 중추신경계 내 신경세포에서의 mRNA 안전성, 수송 및 국소 번역을 조절) 유전자 돌연변이가 전두엽 치매나 루게릭병과 관련된 뇌행동 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최근 뇌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고령화 사회에서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전두엽 치매와, 근육 마비가 온몸으로 퍼지는 루게릭병의 주요 원인인 ‘TDP-43’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TDP-43 돌연변이가 전두엽 치매와 루게릭병의 원인 및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인지행동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연세대학교 연구팀은 유전자 가위 기술(동식물 유전자에 결합해 특정 DNA부위를 자르는데 사용하는 인공 효소로 유전자의 잘못된 부분을 제거해 문제를 해결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전두엽 치매 및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TDP-43 유전자 돌연변이를 쥐의 뇌에 이식한 후 유전자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TDP-43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 하나의 변화가 유전자 자기조절 기능의 고장을 일으킴으로써 단백질의 과잉발현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능 이상은 전두엽 치매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된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 이상을 초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 변화가 치매 증상으로 발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영국 캠브리지 대학이 개발한 터치스크린 인지행동평가시스템을 사용하여 TDP-43 유전자 돌연변이를 이식한 쥐의 인지행동을 분석한 결과 실제 전두엽 치매 환자의 주의 집중력 장애 및 기억력 장애와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으며, 전두엽에서 뇌활성을 조율하는 ‘파브알부민’ 신경세포 수가 현저히 감소한 사실을 발견했다.
 김어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퇴행성뇌질환 치료 후보물질 효능과 효과성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더 나아가 신약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