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전략의 내용 알려야
상태바
인천전략의 내용 알려야
  • 편집부
  • 승인 2012.11.13 00:00
  • 수정 2013-01-21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흔들리는 시선

기자는 10월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열린 ‘2012 인천세계장애대회 중 UN ESCAP대회와 AP-DPI대회, APDF대회를 취재하느라 대회 기간의 대부분을 대회장인 송도 컨벤시아에서 보내야 했다.

대회의 주요내용은 제2차 아·태장애인 10년에 대한 평가와 제3차 아·태장애인 10년의 과제로 이뤄졌으며 취재 도중 지금까지 몰랐던 사실도 많이 알게 됐다.

그 중에서도 한국 등 아·태지역 7개 국가 장애인 당사자단체를 대상으로 한 ‘제2차 아태장애인 10년’에 대한 인지도 조사결과 한국의 경우 장애인 당사자 0.1%만이 제2차 아·태장애인 10년의 명칭을 인지하고 있었고 내용까지 알고 있던 경우는 0.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처럼 아·태장애인 10년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은 자국의 언어로 알리지 않은 각국 정부의 책임이라는 것과 한국의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이 UN장애인권리협약(CRPD) 가입국의 의무사항이었다는 것 등은 7년차 기자로서도 처음 접하는 내용이었다.

지난 2일 폐막된 유엔에스캅 장관급회의에서 발표된 제3차 아·태장애인 10년은 장애인 빈곤감소, IT를 활용한 접근성 확보, 사회참여 확대 등 10개 목표, 26개 세부목표, 62개 지표로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 장애인단체 참관인 자격으로 참석한 김대성 한국장애인단체 회장은 이번 인천전략에 대한 성과로 전략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시민사회단체(CS0)의 실무그룹(Working Group)참여를 문서화했다는 점과 비와코 전략을 주도했던 일본의 경우 제2차 10년 동안 45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3차 10년 동안 장애인의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펀드를 한국이 주도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는 점 등을 꼽았다.

이날 밤 공중파 방송의 뉴스에선 인천전략 선포에 관련된 보도는 없었고 활동보조인이 퇴근한 지 3시간 만에 발생한 화재를 피하지 못해 사망한 고 김주영 활동가에 대한 언급과 활동보조 시간에 대한 연장이 필요하다는 보도뿐이었다.

인천전략이 단지 당사국의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향후 10년 동안의 목표가 되지 않기 위해선 한국정부가 공식적으로 번역한 내용을 공중파 방송을 통해 홍보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