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치매환자 지역사회 독립생활 가능 정책 추진 중
상태바
전 세계, 치매환자 지역사회 독립생활 가능 정책 추진 중
  • 이재상 기자
  • 승인 2016.07.04 09:27
  • 수정 2016-07-04 0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 세계사회복지대회, 치매 관련 국제 심포지엄 개최
 

 세계 최대 규모의 사회복지분야 행사인 2016 세계사회복지대회(SWSD 2016)가 지난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대회 3일째인 29일 열린 ‘치매 노인의 의료 사회서비스 정책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선 고령화시대 인류의 최대과제인 치매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들이 소개됐다.

영국 NGO단체 ageUK 루더 아덴 대표는 “치매환자들은 당뇨, 우울증, 당뇨 등이 동반할 확률이 높다, 치매를 이해하는 전문가 지원을 받으며 정상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살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영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18.8%가 노인인구로 75새 이상 노인의 4% 정도가 치매 발샹하며 90세 이상에선 30%대로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eUK는 케어 코디네이션에 초점을 맞춰 치매환자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족과 간병인이 휴식이 가능하도록 대체 인력 파견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루더 아댄 대표는 “가족 중 치매환자가 발생할 경우 여지껏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로 접어들게 되는데 대한 가족 대상 치매교육, 당뇨 등 동반질환에 대한 치료 및 지원 등의 정책이 필요한 상황”임을 밝혔다.

카나다 토론토대 폴 윌리암스 교수는 “치매노인은 뇌졸중, 심장경색 등이 발생하거나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가 아니라면 병원에 갈 필요가 없으며 일상생활이 불가능해 병원에 한번 가면 집으로 돌아올 가능성은 낮아진다”고 말했다.

카나다도 기대수명 연장에 따른 치매환자의 증가, 젊은층의 저출산 등에 따른 인구감소로 치매환자를 돌볼 인력 부족이 예상되며 치매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카나다는 치매환자 친화적 주택 제공, 요양보호인 참여 확산을 위한 지원 확대, 치매 친화적 지역 공동체 등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일본 도쿄 메트로폴리탄대 준코 와크 교수는 “일본은 2015년말 현재 65세 이상이 25%로 2050년까지 전체인구의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치매환자도 2025년까지 35세 이상 노인의 12.8%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생청은 지난 2005년 치매란 용어를 노인성 장애로 명칭 변경했으며 치매노인을 위한 ‘오렌지 프로젝트(2013~2017)’를 운영 중으로 가정방문 등 지역사회 중심 치매예방 및 조기발견, 치매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치매 가족 위한 치매카페 등 환자 뿐 아니라 가족, 간병인 지원 확대, 2017년까지 주민, 학생 등으로 구성된 700만명의 사회서비스 서포터 육성, 노인 인구 증가와 예산 감소 상황에서 의료와 장기요양의 통합 등을 통해 치매노인을 지역사회애서 가능하면 오래 살게 하겠다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한국 또한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치매 예방과 치료를 위한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여 고령화 심화에 따른 치매의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유애정 박사는 “치매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지역사회 구현을 목표로 5개년 계획 수립. 현재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을 수립·추진 중”임을 밝혔다.

2016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치매 노인은 68.6만명으로 추산(치매유병율은 9.99%)되며 2050년에는 약 271만명(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11.7조원(GDP의 약 1%)였으나 2015년에는 약 43.2조원(GDP의 약 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보건복지부는 중앙치매센터, 시도·광역치매센터, 시군구 치매상담센터를 통한 치매관리 전달체계와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등 치매 관련 지원 인프라를 확충해 왔으며 3차 계획에선 치매 검진 건강보험 적용확대, 치매가족휴가제 개선 등 치매노인의 질환특성과 증상에 맞춘 서비스 제공, 치매예방·조기발견·꾸준한 치료 및 관리로 증상악화와 시설입소를 지연하는 전략에 따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