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확대로 ‘약자복지’ 지속 추진
상태바
복지부,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확대로 ‘약자복지’ 지속 추진
  • 이재상 기자
  • 승인 2024.02.27 09:30
  • 수정 2024-02-27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파 세모녀 비극’ 이후 10년,
복지위기 의심가구 발굴 12배↑
지난해 기준 위기가구 발굴 후
복지 서비스 지원 ‘49.4%’에 불과
공적급여 지원대상 확대 위한
생계급여 기준 상향 등 추진
▲ ‘송파 세모녀’ 10주기를 맞은 2월 26일, 기초생활보장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장애인과가난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은 대통령실 인근에서 추모제를 갖고 “가난 때문에 죽지 않는 세상을”을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원을 통한 ‘약자복지’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대한불교종계종 사회노동위원회 페이스북)

보건복지부는 ‘송파 세 모녀 사망사건’ 발생 후 10년이 경과한 2월 26일 복지위기 의심가구의 발굴·지원 현황을 재점검하고 안타까운 사건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망사건 이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긴급복지지원법’, ‘사회보장급여법’의 복지 3법 제·개정(2014년) △기초생활보장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2015년)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구축(2015년) △읍면동 복지 허브화(2016년) △복지 멤버십 도입(2021년) 등 복지 위기가구 발굴·지원정책을 추진해 왔다.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통해 지난 10여 년간(2015∼2023년) 단전, 단수 등 위기정보를 통해 666만 명(누적)의 복지 위기가구를 발굴하여 290만 명(누적)에게 기초생활보장, 긴급지원 등 공적 급여와 민간 자원 연계 등 복지서비스를 지원했다.

복지위기 의심가구의 발굴 규모는 빅데이터 기반의 복지사각지대 발굴 시스템 구축(2015년 12월) 이후, 2015년 11만5천 명에서 2023년 139만 명으로 대폭 증가(12배)해 양적 측면의 성장을 이뤘다.

위기 의심가구 발굴 이후 공적·민간 복지 서비스를 수급받은 대상자는 2015년 1만8천 명에서 2023년 69만 명으로, 복지서비스 지원율은 2015년 16%에서 2023년 49.4% 수준으로 증가해 질적 수준의 성장을 달성했다.

복지사각지대 발굴 규모의 증가와 복지 위기가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로 인해 기초생활보장 등 공공 서비스 지원율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공공 서비스 보완을 위한 공동모금회, 푸드뱅크, 민간기관 지원 등 민간 서비스 연계율은 2015년 23.6%에서 2023년 80.8%로 증가 추세를 기록했다.

복지 위기가구 발굴 이후 급여 지원 확대를 위한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 부양 의무자 기준 완화 등 제도개선을 통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는 2015년 165만 명에서 2023년 255만 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긴급복지 지원 요건 완화, 실거주지 지원 등 사회 안전망 역할 강화를 위한 노력도 함께 병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지원금액을 역대 최대 수준인 13.16%(4인 가구 기준) 인상하고, 생계급여 기준 상향(기준 중위소득 30%→32%), 자동차 재산 완화, 중증장애인 의료급여 부양 의무자 기준 완화 등 두터운 약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 중이다. 더불어, 신속한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국민이 참여하는 ‘복지위기 알림 앱’을 개발·보급하고, 집배원을 통한 복지등기 서비스 확대, 연락 두절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휴대전화번호 확인과 경찰 조사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복지부 임을기 복지행정지원관은 “앞으로도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과 취약계층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약자복지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