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서원, 거점형 종합재가센터로 공공성 강화해야
상태바
인천사서원, 거점형 종합재가센터로 공공성 강화해야
  • 차미경 기자
  • 승인 2022.09.29 09:22
  • 수정 2022-09-29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평·강화종합재가센터 운영 연구방안 연구…
타지역보다 긴급·틈새돌봄 이용률 높아

지역거점 통합돌봄 기관으로 자리 잡아야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운영하는 종합재가센터를 지역 거점형으로 확대해 지역사회 통합돌봄 기관으로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최근 ‘인천시 종합재가센터 운영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고 권역별로 센터를 설치하고 공공돌봄 거점기관으로 역할과 기능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고 29일 밝혔다. 

인천사서원은 지난해 2월 부평·강화 두 곳에 종합재가센터 문을 열고 운영 중이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와 장애인활동지원, 가사·간병서비스, 긴급틈새돌봄 등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돌봄 시설이다. 부평센터는 간호특화형으로 방문간호 서비스도 가능하다. 현재 센터별 돌봄 종사자 수는 부평 12명, 강화 2명이다. 이달 1일, 8시간 전일제 근무 방식으로 전환했다. 

보고서는 1~3단계별 종합재가센터 발전 전략을 제안했다. 1단계는 ‘기반조성과 안정화’ 단계로 최소 기준에 맞는 인력과 시설을 정비·보강한다. 다음은 ‘확대·전문화’ 단계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전문성을 확보하고 조직·인력구성을 재편한다. 다른 기관과 서비스 연계로 지원을 강화한다. 마지막은 ‘거점·기능강화’단계다. 거점별 전문 사례관리 업무 담당 인력이나 신규 인력을 배치해 사례관리팀을 조직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서비스 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현재 부평·강화센터는 공공돌봄 서비스 기관으로 자리 잡아 전문화 단계를 지나 마지막 단계로 진입이 가능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돌봄 거점 기능을 맡아 치매안심센터, 재택의료센터, 지역 내 의료기관과 연계한 사업을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센터 이용자 대다수가 노인이라는 특성에 맞춰 노인맞춤돌봄 수행기관을 지원하는 역할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거점 기능 강화를 위해 무엇보다 행정업무 처리가 가능한 인력을 별도로 채용하는 등 인력과 예산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강화센터가 민간시설과 차별화해 마련한‘건강드림카’사업과 같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강드림카는 이동지원서비스다.

연구는 전문가 의견과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전과 미션, 전략, 주요 사업 등을 제시했다. 비전은 ‘인천시민의 안심돌봄을 지원거점 통합돌봄기관’으로 ‘서비스 공공성’과 ‘대상자 포괄성’ ‘전달체계 통합성’ ‘종사자 안정성’을 미션으로 한다. 이를 실현할 방안으로 장기요양, 노인맞춤돌봄과 같은 직접사업과 복지사업, 의료시설 등 유관기관과 연계사업, 기타사업을 제안했다.

부평·강화센터 현황을 보면 타 지역에 비해 종사자 규모는 전국 최저 수준이지만 지역사회에 빠르게 정착해 개소 이후 이용자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1월과 6월만 비교했을 때 두 곳 모두 2배 이상 늘었다. 부평센터는 방문요양, 장애인활동지원, 긴급·틈새돌봄 순으로 이용자가 많고 강화는 건강드림카, 틈새돌봄 서비스 순으로 이용률이 높았다.

또 민간시설이 기피하는 고난도 시민에게 서비스를 꾸준하게 제공하는 등 공공돌봄 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고 있다. 부평센터를 보면 지난 1월 노인·장애인 8명에게 136시간을 제공했고 지난 2월에는 13명에게 230시간을, 4월 7명이 151시간을 이용하는 등 1~6월 평균 7명 121시간을 사용했다. 복합적인 정신장애, 요구 과다, 폭력성, 알코올 의존, 중증 암 환자 등을 고난도 대상자로 분류했다. 

특히 코로나19 긴급돌봄과 제도권 밖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틈새돌봄 이용자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다. 지난 한 해 긴급틈새돌봄 이용자 수를 보면 부평센터는 525명, 강화는 352명으로 서울시와 광주시를 제외하면 가장 많다. 방문요양서비스 대비 긴급틈새돌봄 이용자 비율은 부평은 42.6%, 강화는 179.6%로 전국 평균 36.4% 보다 크게 높다. 이는 잠재적인 긴급서비스 수요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서울사서원이 운영하는 종합재가센터는 12곳이고 광주시는 2곳이다. 

연구를 맡은 서윤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부평센터는 사각지대 서비스 대상자 발굴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신규사업 개발 등 차별화 전략을, 강화센터는 민간시설이 많은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며 “부평, 강화센터가 이제 지역에 정착하는 단계이지만 권역별 거점센터를 설치하면 센터별 시너지를 일으켜 공공돌봄 역할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차미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