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복지부 예산안, 96조9377억원 규모…올해보다 8.2% ↑
상태바
내년 복지부 예산안, 96조9377억원 규모…올해보다 8.2% ↑
  • 이재상 기자
  • 승인 2021.09.01 09:27
  • 수정 2021-09-01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 폐지···21만 가구 추가
재난적 의료비, 소득수준에
따라 50%∼80% 지원
탈시설 시범사업 22억원
활동지원, 1만7천명 ↑
장애아동 양육지원 4천명↑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건강보험료 하위 70%까지

정부, 내년예산 604조 규모

정부는 8월 31일 국무회의를 열고 올해 본예산보다 8.3% 증가한 604조4천억 원 규모의 2022년도 예산안을 확정했다.

내년 보건복지부 예산안은 올해 대비 8.2% 증가한 96조9377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정부 총지출 중 16.0%를 차지하는 규모다.

생계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전면 폐지됨에 따라 21만 가구 추가 및 기준 중위소득 5.02% 인상으로 올해보다 6,569억 원, 14.3% 증가한 5조2648억 원이 편성됐다.

의료급여는 부양의무자 가구에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이 있는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라 11만 명 추가, 의료급여 식대 인상(1식 3,900원→4,130원) 및 MRI, 초음파 비용지원 등 의료보장성 강화를 위해 올해보다 4,428억 원, 5.8% 증가한 8조1232억 원이 편성됐다.

자활사업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올해보다 8천 개 증가한 6만6천 개, 자활급여 3% 단가인상 반영한 올해보다 12.3%, 763억 원 증가한 6,963억 원, 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대상 희망저축계좌Ⅰ·Ⅱ 등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탈수급 지원은 올해보다 18.6%, 170억 원 증가한 1,083억 원이 투입된다.

긴급복지는 휴·폐업, 질병 등으로 인한 위기가구 지원 규모 확대(32만5천→37만5천 건) 및 생계지원단가 인상(4인 가구 기준 126→130만 원, 3%)이 포함돼 올해보다 16.2%. 300억 원 증액된 2,156억 원이 편성됐다.

상병수당 시범사업은 근로자가 아파서 일하기 어려운 경우, 소득 걱정 없이 쉴 수 있도록 상병수당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2022년 7월부터 추진하며 이를 위한 신규예산 110억 원이 책정됐다.

재난적 의료비 지원은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인한 가계파탄 및 빈곤층 추락 예방을 위해 기존 본인 직접부담 의료비(비급여) 50% 지원에서 소득수준에 따라 50%∼80% 지원으로 확대되며 이와 관련한 예산안은 올해보다 1억 원 증액된 37억 원이 책정됐다. (기초생활·차상위 수급자 80%, 중위소득 50% 이하 70%, 중위소득 50∼100% 60%, 기준중위소득 100∼200% 50%)

장애인복지 관련해선, 탈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주거·돌봄·의료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사업(10개 지역, 지역당 20명 지원) 실시를 위해 22억 원의 신규 예산이 편성됐다.

활동지원은 올해보다 15.5%, 2,335억 원 증액된 1조7405억 원이 편성돼 대상자 확대(9만9천 명→10만7천 명) 및 최중증장애인 돌봄을 위해 가산급여 대상 확대(3천 명→4천 명) 및 단가인상(1,500원→2,000원/시간),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서비스(성인) 시간(100시간→120시간) 확대 및 방과 후 활동서비스(청소년) 활성화를 위한 단가인상(1만4020원→1만4805원) 등에 투입된다.

장애인일자리는 만18세 이상 장애인 대상 일자리 확대(2만4896→2만7396명)를 위해 올해보다 14.8%, 236억 원 증가한 1,832억 원이 책정됐다.

장애아동 양육지원은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만6세 미만 중증장애아동의 서비스이용 욕구를 반영해 대상자 확대(4,005→8,005명) 및 연간 돌봄시간 확대(720→840시간)를 위해 올해보다 27.1%, 318억 원 증가한 1,492억 원이 편성됐다.

장애인학대 예방 및 사후지원 강화를 위해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전담인력 5명에서 6명으로 확대, 지역 기관 1개소 추가를 위한 예산으로 24억 원이 반영됐다.

독거노인·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20만 명→30만 명) 및 AI·IoT 장비를 활용한 디지털 돌봄시설 지원 확대(215개소→357개소)되며,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은 올해보다 1,500명 증가한 5,500명, 건강보험료 하위 50%에서 70% 이하까지 확대한다.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지역책임의료기관 확충(35개소→43개소), 지방의료원 대상 시설·장비 보강 및 ICT를 활용한 감염병 대응, 병원운영 효율성 등을 제고하는 스마트병원 확충(신규 3개소) 등 올해보다 224억 원 증액된 1,657억 원이 편성됐다.

이재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