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뿐인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상태바
말뿐인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 임우진 국장
  • 승인 2017.02.23 10:21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교통계획을 또 내놨다. 202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 42%(서울 65%, 광역시 45%, 9개도 32%)를 저상버스로 보급하고 휠체어 탑승 가능한 고속·시외버스를 개발한다는 것. 시·군 경계구분 없이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지원시스템도 개발한다. 교통약자가 불편함 없이 버스·철도·항공기 등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 설치율도 일반버스 82%까지, 저상버스, 철도차량, 항공기 등은 90% 이상 끌어올린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7~2020)'을 확정·고시했다. 이에 따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2021년까지 장애인콜택시 등 특별교통수단의 법정 보급대수를 100% 채워야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정부의 계획이 미덥지 않다는 게 문제다. 계획만 요란할 뿐 이를 제대로 이행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2012년 3월에도 ‘제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2~2016)’을 내놨었다. 교통약자를 위해 2012년 보급률 12%인 저상버스를 2016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41.5%까지 올리겠다고 했었다. 재정여건, 교통약자수, 도입수요 등을 고려해 저상버스 보급률을 2016년까지 서울 55%, 6대 광역시 40%, 8개도 지역은 30%까지 높이기로 한 것. 하지만, 정부의 계획이행 실적은 초라하다.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5년 저상버스 도입률은 32.2%(1만473대) 도입계획이었으나 전국에서 운행되는 인허가 시내버스 3만2552대 중 20.7%(6751대)에 머물렀다. 특히 2015년 6대 광역시의 저상버스 도입률은 서울 35.2%, 대전 25.0%, 대구 21.8%, 부산 18.5%, 광주 17.8%, 인천 14.1%에 그쳤다. 6대 광역시 평균 도입률은 18.3%에 불과하다.

이처럼 저상버스 도입률이 낮은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지자체가 예산 문제로 저상버스 도입을 위한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것. 그래서 지난 국정감사에서는 운송업체의 저상버스 운행에 따른 손실을 최대한 보전해 줄 수 있도록 국비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저상버스 구입비는 대당 2억3천여만 원 정도로 일반버스 구입비 1억1천여만 원의 2배나 비싸다고 한다. 저상버스를 구입할 때 정부와 지자체가 구입비의 50%를 지원한다지만, 관리하기도 까다로워서 운송업체가 도입하기를 꺼릴 수밖에 없다. 사용연한이 지날수록 수리비가 일반 시내버스보다 많이 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운송업체에서 저상버스의 리프트가 고장난 채 운행하고 있어 사실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상이 이러니 교통약자들이 겪는 불편은 도입률 등의 수치로 예측되는 것보다 훨씬 클 수밖에 없다.

2005년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법’이 제정돼 시행된 결과,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많이 개선된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법과 제도가 있어도 정부가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장애인콜택시 등 교통약자의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시내·시외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 장애인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장애계는 “우리도 고향에 가고 싶다.”며 “시외․고속버스 장애인이동권 보장”을 촉구해왔다. 전국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9700여대 가운데 저상버스나 승강설비를 갖춘 버스는 한 대도 없다. 그런데, 정부는 번번이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시외이동 저상버스 도입 요구를 묵살하더니 지난해 11월 ‘누워서 가는 최고급 프리미엄 버스’를 개통했다. 정부의 정책이 장애인들에게는 그저 입에 발린 말뿐으로 느껴지는 이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