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수용소 3
icon 수용소
icon 2021-01-13 19:27:58  |   icon 조회: 412
첨부파일 : -
2020


“북한 정치범수용소 계속 진화…체제에 필수적 요소”




기자 김영교

2020.11.20




북한의 정치범수용소가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데이비드 호크 전 국제 앰네스티 미국지부장이 말했습니다. 정치범수용소가 북한 체제 안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김영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데이비드 호크 전 국제 앰네스티 미국지부장은 19일 워싱턴의 대북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가 개최한 인터넷 화상 간담회에서 북한의 정치범수용소가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호크 전 지부장] “It's always evolving, because the prison camp system is an integral part of the socio economic,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So, it's a constantly evolving political organism.”


수용소 제도는 북한의 사회, 경제, 정치 체제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기에 언제나 진화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수용소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정치적 유기체와 같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의 강제 수용소에 대해 상세히 밝힌 ‘감춰진 수용소’의 저자인 호크 전 지부장은 북한이 오래된 수용소를 닫고 새 수용소를 열곤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일부 수용소가 닫히는 이유와 관련해서는 북한 내 광산과 연관을 지었습니다.


[녹취: 호크 전 지부장] “Some of the prison camps are built around particular mines. And the prisoners do force labor in mining and that particular mine is exhausted. So, it no longer makes economic sense to have all this forced labor in that particular mine.”


수용소 중 일부는 특정 광산 근처에 있어 재소자들이 광산에서 강제 노역을 하게 되는데, 만약 그 광산이 고갈된다면 그 곳에서 강제 노역을 시킬 경제적인 이유가 없어진다는 설명입니다.


또 일부 수용소는 재소자들이 목재나 동물 농장, 경공업을 위한 강제 노역에 동원되기도 한다며, 수용 인구가 줄어 수용소의 통합이 일어나기도 하고 수용소가 이동을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호크 전 지부장은 하지만 국가보위성과 인민보안성에 의해서 운용되는 수용소의 기본적인 역할은 체제에 충성하지 않는 주민들을 처벌하고 사회에서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수용소의 존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그곳에 들어가게 될 가능성에 대해 늘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수용소 내에서 재소자들에게 충분한 음식이 제공되지 않아 대부분 굶주리고 영양 실조를 겪고 있다며, 이는 결과적으로 수감자들의 높은 사망률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호크 전 지부장은 또 수용소 내에 성범죄가 널리 퍼져 있다면서, 교도관들이 여성 재소자들과 성관계를 하면 법으로 처벌 받게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일이 만연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올해 발표한 ‘2020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북한 수용소 등에서의 강제 노역 등을 북한 정권의 정치적 압박과 재원 마련 수단으로 지적하며 이를 ‘인신매매’ 범주에 포함시켰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약 8만에서 12만 명이 수용된 것으로 추산하며, 정당한 사법적 절차 없이 수용된 경우가 상당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어린이를 포함한 수감자들이 혹독한 환경에서 장시간 강제 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구타와 고문, 강간, 식량 부족 상황에 놓여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관, 김정은 기소 촉구



2016년 03월 15일



유엔 북한인권 조사관, 김정은 기소 촉구 유엔 북한인권 조사관, 김정은 기소 촉구



제네바, 3월15일 (로이터) - 유엔 북한인권 조사관이 14일(현지시간) 김정은과 고위 북한 관리들을 인류에 대한 범죄(crime against humanity)로 기소할 것을 촉구했다.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 보고관은 유엔인권이사회(U.N. Human Rights Council: UNHRC)에서 북한 정권은 많은 주민이 굶주리고 ‘노예같은 상황'에서 일하고 있음에도 불구, 막대한 자원을 핵 및 기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쏟아붓고 있다고 말했다.


다루스만은기자 회견에서 "우리는 점차 북을 옥죄가고 있다. 북한은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허락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완벽한 통제 시스템 하의 국가"라고 말했다.

그는 2년간의 유엔 조사가 끝난 지금에도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고문, ‘노예 상태의 중노동', 종교적 박해 등은 예전과 그대로라고 주장했다.


북한 유엔 대표부는 UNHRC 회의 참석을 거부했다. 일본, 한국, 유럽연합(EU) 및 미국은 다루스만의 김정은 기소 주장을 지지했다. 그러나 이들은 김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다.


전 인도네시아 외무장관 다루스만은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를 통해 김을 조사할 수 있다고 말했으나 주요국들의 동의를 얻는데는 실패했다. 이에 따라 제3국에서 북한 지도부를 기소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그는 UNHRC에게 ‘기소 방식을 검토할' 3인 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로이터에게 동 위원회가 "완전한 기소는 아니더라도 기소와 관련된 초기 단계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14년 전 대한민국에 망명했을 당시 기자회견만 하면 국제사회가 달라붙어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는 없애주는 것으로 착각했었다. 기자회견을 하면서 내내 수용소의 친구들이 떠올랐었다.


하지만 그 기대는 긴 꿈에 불과했다. 앞으로 14년이 더 지나면 나아질까? 지금 이대로라면 김 위원장이 사망한 다음에야 수용소 문제가 해결될 것 같다.


아우슈비츠에서처럼 사람들이 다 죽고 난 다음에야 ...….

.......................................................................................................................










[...... 지난 20년간 당국간 이산가족 생사확인 사례는 3,506건에 불과합니다....... ]





[....... 국군포로와 납북자 가족들은 가슴에 맺힌 한을 누가, 어떻게 풀어줄 것입니까?


이산가족 문제도 시급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20년간 당국간 이산가족 생사확인 사례는 3,506건에 불과합니다. 이는 전체 신청자 124,523명에 비하면 너무나 적은 수치입니다.


신청자 중 대부분이 70세 이상의 고령이어서, 이제는 기다릴 시간이 없습니다. 이산가족 1세대가 돌아가시기 전에 생사확인이라도 해야 합니다. ........ ]



http://www.chogabje.com/board/view.asp?C_IDX=11165&C_CC=AZ

"북한정권 눈치보는 정부 너무나 부끄럽다"
2021-01-13 19:27:58
1.233.121.8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