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 향후 10년을 이야기한다

2017-09-11     오유정 기자
 지난 1일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인천로얄호텔에서 특수교사, 학부모, 특수교육 관련 관계자를 대상으로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 10년, 그리고 향후 10년’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교사, 학부모, 장애인단체 관계자가 모여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의 현황과 추진상황에 대해 공유하고 미래의 사람중심, 지역사회 기반을 실행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 구축을 위해 공동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지역사회 다양한 전문인력 활용 ‘특수교육서비스’ 지원돼야
지금까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순회교사-치료사 배치…단순 서비스 지원에 그쳐
 
2008년 설립…진로 직업교육 중점 지원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 지난 10년
 지난 2008년 특수교육지원센터가 법정 기구로 승격되면서 지역사회 중심 특수교육 지원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이에 인천시는 인천시교육청 산하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해 진로 및 직업교육을 중점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특히 방학 중에 제과제빵, 바리스타, 공예, 목공 등 다양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어 2010년에는 특수교육지원센터 모델개발 연구를 추진해 전국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모형을 구축해 제시했다. 
 이 시기에 인천시교육청에서는 교육부에서 수립한 특수교육 발전 방안과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진로 및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 추진했다. 특히 유연한 교육과정을 특수학교 및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적용해 진로 및 직업교육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했다.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는 2+1제 디딤돌 직업전환교실을 운영했고, 현장중심 직업교육을 운영했다. 
 2006년에는 특수학교(2교) 전공과를 설치해 2008년에 전공과 졸업생을 처음으로 배출했으며, 2010년에는 강남영상미디어고에 전공과를 신설했으며 2012년에는 특수학교(7개교) 전공과 20학급을 확충해 전공과 운영을 내실화하고자 노력했다.  
 ‘꿈과 끼를 키우는 특수교육 제공으로 장애학생의 행복교육을 실현’하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대한 세부 추진 방안으로 △특수교육 교육력 및 성과 제고 △특수교육 지원 고도화 △장애학생 인권 친화적 분위기 조성 △장애학생 능동적 사회 참여 역량 강화의 4개 분야와 11개 중점 과제를 추진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중심 진로 직업교육 제공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체계를 확립했다. 
 
2016년 공단연계 인천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개소 
내년 직업교육 중점학교 ‘미추홀학교’ 지정 운영
 
 2015년에는 지역사회 유관기관 협력을 강화하고자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특수교육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했다. 장애학생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학생 인권 강화지원, 방학 중 전환교육 ‘숲속학교’, 학기 중 전환교육 ‘진로탐구교실’, 전문가와 함께 하는 동아리 모임 등을 운영했다. 2017년에는 인천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역사회 연계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으로 자격증 과정, 현장직무형직업교육, 성인기전환인권교육을 실시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장애학생의 능동적 사회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 전환교육 지원 정책으로 2013년 장애학생에게 지역 내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학교 내 장애인일자리사업, 특수교육-복지 연계형 장애인복지 일자리 사업을 추진했다. 2015년에는 장애인일자리 사업의 한 형태로 교육청에 행복나눔터 카페를 운영하고 있으며, 평생학습교육관에 행복나눔터 카페 2호점을 개소해 운영하고 있다. 2016년에는 장애청소년이 취업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인하대와 인하공전과 협력해 장애학생 직업교육 전문기관 위탁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2016년 12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연계해 인천발달장애훈련센터를 개소했다. 인천발달장애훈련센터는 교육청에서 설치장소를 제공하고 설치비와 운영비 전액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부담하는 형태로, 교육청은 장소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교육지원센터 인력을 파견 배치해 장애학생의 직업교육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형태다. 즉, 교육청과 장애인고용공단의 유기적 협업 모델 구축을 통해 장애학생에게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2016년부터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운영해 장애학생이 꿈과 끼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했다. 2017년에는 미추홀학교를 직업교육 중점학교로 지정해 장애학생의 진로직업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고 지원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지역사회 다양한 전문인력 활용한 지원

 앞으로 특수교육서비스 지원방향
 이날 발제를 맡은 인천시 동부교육지원청 초등교육과 김정인 장학사는 “지금까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순회교사 및 치료사 배치에 따른 단순한 서비스 지원에 그쳤다면 앞으로의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전문인력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김정인 장학사는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는 치료지원, 가족지원 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의 팀접근 방식에 의해 개인별 욕구에 따른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등에 배치돼 있는 관련 치료사, 사회복지사, 상담전문가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애영 유아 조기판별에 따른 진단평가의 경우 보건소, 주민자치단체, 병원 등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정보공유 관리와 가족과의 연계, 영아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담인력과의 협업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연계가능 프로그램 발굴 지원
 
 김정인 장학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자신들의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 기관을 조사해 업무협약을 맺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일회적인 단순 프로그램이 아닌 체계적으로 심화된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개설해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예를 들어 가족 지원의 경우, 정서적 지원을 위한 부모멘터상담, 학부모자조모임, 가족집단상담, 여가활동, 비장애 형제자매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역사회 내에서 발굴해 수요자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복지관 및 지역사회 시설 등과 협력해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허브역할 서비스코디네이터 필요
 
 토론자로 나선 서울발달장애인지원센터 문희원 센터장은 “장애학생이 직업을 가지고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은 실현가능하지만, 대다수의 장애인학생들이 졸업 후 특수교육, 복지관, 지역사회 등으로 각각 분리돼 지내고 있다. 이에 관련해선 교육 안에서 각각의 기관들이 얼마나 자기 것을 내놓고 발현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인천지역 장애인복지기관들을 기관별로 끌어안는 중간자인 허브 역할을 하는 서비스 코디네이터, 사회복지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희원 센터장은 “어느 복지관을 가든 비슷한 프로그램을 하고 그 프로그램은 유효한 기간이 있고 그 기간이 끝나면 다시 갈 곳이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장애학생이 초중등기를 지나 지내는 많은 곳은 지역사회다. 인천에서 먼저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을 위해 선두적인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특수교육센터 인력배치 매뉴얼 필요 
 
 세종시교육청 특수교육담당 도경만 장학사는 “지난 10년 동안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모습은 특수교사, 치료사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특히 특수교사와 치료사 외에는 다양한 인력이나 보급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 특수교사와 치료사 등 1300명의 인력 중 700여명의 특수교사와 300여명의 치료사, 이런 형태의 구성이 현실적인 조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센터에 배치돼 있는 인력이 어떤 인력이 배치돼야 하는지 매뉴얼이 없다.”고 지적했다. 
 도경만 장학사는 “작년까지는 다 기간제 선생님을 배치했다가 올해부터 전부 정규직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신규 선생님들의 업무가 과중하다. 최소한의 휴가 보상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행정적으로 지원해주는 부장교사가 아닌 나이순으로 책정하는 부장교사의 역할이 모호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경만 장학사는 “특수센터의 전담교사가 배치된 시도교육청이 많지 않다. 실제 책임 있게 뭔가를 지역사회와 연결해서 하려면 법령으로 명시된 무엇이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 책임질 사람이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센터에 충분한 인력이 제공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역 센터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용역을 만들었는데 50만 기준으로 적정인력은 35명의 전문인력이 배치돼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장애당사자들 부모님들 입장에서 바라봤을 때 특수센터가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선 의구심이 드는 이런 현실적인 조건에선 좀 갖춰져야 될 것”이라 말했다. 
 
지역사회 기반 센터운영 방향 마련
장애아동과 발달장애인 개인별 지원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김기룡 사무총장은 “지역사회 기반의 센터 운영과 입장 및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기룡 사무총장은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를 앞으로 더 잘하기 위해서는 센터가 활동의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며, “현재 지역사회 내에 있는 장애아동과 발달장애인 개인별 지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지역사회 당사자를 중심으로 구축해야 하며, 센터는 지역사회와의 가교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룡 사무총장은 “이런 부분에 대한 의견이나 방향이라든가 종합적으로 정리를 해서 인천시에 특수센터가 지역사회의 환경을 고려한 방향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또한, “방학 때 계절학교가 충분치 않아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방과후 교육을 통한 만족도가 높다는 조사 결과는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관련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중추적 기관이 되어 지역사회에서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서비스는 센터 측에서 의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