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지원사, 실태조사와 자격취득시스템 개선해야”
상태바
“활동지원사, 실태조사와 자격취득시스템 개선해야”
  • 이재상 기자
  • 승인 2022.08.08 10:19
  • 수정 2022-08-08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솔루션, 보건복지부에
서비스 질 향상 위한
대책 마련 요청

활동지원사에 대한 실태조사와 자격증 취득시스템 개선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애인단체총연맹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솔루션)은 보건복지부 장애인서비스과에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실태조사 또는 연구를 실시하고, 취득시스템 개선, 품질관리 방안 등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고 8월 5일 밝혔다.

활동지원제도는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신체활동, 가사활동 및 이동보조를 지원하는 제도로 활동지원제도 예산은 올해 무려 1조 7천여억 원에 달한다.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증가하고,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용자 수는 7만8천여 명(2018년)에서 10만여 명(2021년)으로 증가했다. 장애유형도 지체(14%), 시각(10.8%), 청각(0.6%), 언어(0.6%), 지적(40%), 뇌병변(14.1%), 자폐성(14.2%)으로 골고루 분포해 있어 필요한 욕구가 다 다르다.

이에 따라 밥 먹고 씻는 것부터 자녀 등하교까지 당사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지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늘어나는 활동지원 수요에 발맞추기 위해 활동지원사를 재빠르게 양성해야 했다. 활동지원사 자격 취득 조건을 까다롭지 않게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었다. 40시간의 교육과 10시간의 실습만으로 활동지원사가 될 수 있다 보니, 다양한 특징의 활동지원사가 늘어나고 있다. 20~30대뿐만 아니라 40~50대 이상의 고연령, 외국인, 경증장애인 등 다양한 활동지원사가 나타나고 있다.

자격 취득 조건이 쉬운 만큼 전문성은 부족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활동지원사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강도 높은 활동지원을 하기 힘들 가능성이 높고, 새로운 기술에 생소하다. 외국인일 경우, 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아 당사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기도 하다. 그렇다고 해서 젊은 20대나 한국인 모두가 전문성을 갖고 일하는 것도 아니다. 개인 역량이나 태도에 따라 편차가 나타나는 것.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한다는 취지대로 활동지원제도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활동지원사의 취득시스템이나 품질관리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활동지원제도 이용자 입장에서의 국가 차원 연구나 문제 제기는 지속적으로 진행됐으나, 서비스 제공자인 활동지원사에 대한 연구는 없었고 문제 제기 또한 상대적으로 훨씬 적었다. 실태조사 또한 2013년 활동지원사 성별 통계가 나온 이후 인원 통계 정도가 전부였다.

이에 솔루션은 “어떤 활동지원사가 매칭되더라도 균일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기 위해 국가에서 나서야 할 차례”라며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실태조사 또는 연구를 실시하고, 활동지원사 자격증 취득시스템 개선 및 품질관리 방안 등 활동지원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