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환자 재원기간, OECD 평균의 6배
상태바
조현병환자 재원기간, OECD 평균의 6배
  • 배재민 기자
  • 승인 2019.06.14 09:14
  • 수정 2019-06-14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OECD, 평균재원 50일

지역사회로 전환 추세

한국은 303일에 달해

오히려 입원병상 늘어
 
 6월 12일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개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정신장애인 인권증진을 위한 연속정책간담회’에서 OECD 회원국의 조현병 환자 평균 재원기간은 2016년 기준 50일인 데 반해, 우리나라 평균 재원기간은 303일에 달한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으로 입원제도의 변화로 2017년 평균 재원기간이 215일로 감소했지만 입원환자수는 2016년 6만9162명에서 2018년 4월 23일 기준으로 6만6523명으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어 선진국들은 입원병상을 줄이고 지역사회로 전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인데 한국은 오히려 병상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기입원의 정신의료기관 외적 요인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전반의 이해부족 △돌봄과 지원에 대한 가족들의 전적인 부담 △입원 이외에 지역사회에 대체시설 및 재활서비스의 부족 등이 입원을 장기화시키고 치료의 연속성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정신건강 인프라를 비교하면 OECD 회원국 1인당 정신보건예산 약 2만4000원, 한국 3,889원에 불과하며, 인구 10만 명당 정신건강 전문인력도 50.7명, 한국 16.2명에 불과해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정책 의지가 너무 낮다고 평가했다.
 
 간담회에 참여한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낙후된 시설과 세분화되지 않은 획일화된 치료환경이 질 낮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정신질환과 병원에 대한 낙인효과, 치료 만족도 저하와 함께 정신과 치료 거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초발질환 등 조기개입에 대한 정책 △질환상태 및 질환별 차등적 치료환경 적용 △낮은 수가의 개선을 포함한 신속한 입원과 효과적이고 집중적 치료, 퇴원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의료보장제도의 혁신 △지역사회 돌봄 및 거주, 재활서비스의 강화 △정신병원의 장기입원으로 인한 인권침해 피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도적 장치 등이 제시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