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복지재단, “공공과 민간의 가교역할 해야”
상태바
인천복지재단, “공공과 민간의 가교역할 해야”
  • 이재상 기자
  • 승인 2019.03.15 09:39
  • 수정 2019.03.15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크 콘서트 열고 재단이 나아갈 방향 의견 수렴
 

지난 13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인천복지재단 출범 기념 토크 콘서트에서 토론자로 나선 인천사회복지관협회 강병권 회장은 인천시 사회복지기관에서 일을 하면서 행복했던 기억으로 지난 2007년 종합사회복지관 기능 재정립에 대한 연구를 인천시의 지원으로 인천사회복지협의회 부설 인천사회복지연구센터와 함께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08년 사례관리 특화사업으로 8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례관리 전담직원을 충원하고 가정방문을 위한 차량을 마련했던 것을 소개했다.

강 회장은 “또한 2009년에는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을 영구아파트 단지를 시작으로 전체 복지관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만들고 실천했던 귀중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 당시 지역복지기관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할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인천시가 정책으로 실천했다. 그 과정에서 민·관이 서로 존중하며 소통과 협력으로 지역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노력했었다”면서 “인천시의 사례관리 사업은 그 후 전국의 사회복지관 사례관리 모델로 제시됐다.”고 말했다.

그는 “그랬던 인천시가 최근 전국 시·도의 사회복지 관계자로부터 ‘인천은 왜 그래?’란 말을 듣고 있다, 이처럼 인천복지재단은 인천시 사회복지 위기 상황에서 출범한 것”임을 지적했다.

강 회장은 “중앙과 지방정부가 바뀔 때마다 새로운 정책이 쏟아지는데 내용은 별로 새롭지 않다”며 “인천복지재단은 이미 시행돼 좋은 성과를 내는 정책은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의 가교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광백 사무국장은 “장애인복지 현장의 경우 장애인복지관별 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장애인주간보호센터는 어디에 있고 들어갈 자리가 있는지, 보호작업장에는 들어갈 자리가 있는지, IL샌터에서 운영하는 체함홈에는 탈시설하려는 장애인이 들어갈 자리가 있는지, 탈시설을 하기 위해서 거주시설에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장애인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어떤 것들이 있고 나의 조건에서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는 무엇인지 등 무수히 많은 사례에 해당하는 것들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정보를 제공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경험상으로 사회복지 관련 연구를 오랫동안 했던 분들 상당수가 장애인복지는 잘 모르는 것 같다”면서 “장애계가 인천복지재단에 거는 기대 또한 큰 만큼 장애유형별로, 연령별로, 장애인을 둘러싼 지원자들까지 직접 이야기를 청취하면서 장애인 복지 관련 감수성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조세은 사회복지사는 “복지 이슈는 빠르게 변하고 정책과 서비스 역시 급변하고 있으며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인천과 각 자치구 현장에 맞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인천복지재단은 중앙, 지방정부의 복지 패러다임, 공약 중심으로 진행되는 복지정책에서 벗어나 인천 지역에 맞고 시민이 원하는 복지정책인지를 검증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기준선과 같은 맥락으로 복지현장의 삶의 질 또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인천사회복지사협회와 인천사회복지협의회, 인천평화복지연대 등과 인천복지재단간의 긴밀한 협조가 이뤄져야”함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크 콘서트에선 장애인 지정석이 만들어져 장애인을 존중하려는 인천복지재단의 의지가 돋보인 반면 문자중계용 모니터엔 내빈명단만이 나올 뿐 토론 내용을 볼 수 없어 아쉬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