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장애인 재활 넘어 자활할 수 있는 정책 마련돼야”
상태바
“중도장애인 재활 넘어 자활할 수 있는 정책 마련돼야”
  • 이재상 기자
  • 승인 2018.03.15 09:42
  • 수정 2018-03-15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동식 회장, ‘장애인 아고라’서 주장

 

 
 
 
 산재장애인 A씨는 한쪽 팔 견관절 절단으로 1년 정도 입원 치료를 받고 통원치료를 준비 중이다. 그러던 어느 일요일 의수를 착용하고 중,고등학생 자녀들과 함께 외식을 하기 위해 외출하던 중 사춘기 자녀들이 아빠의 장애 상태를 이해하지 못하고 창피해서 같이 못 가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지난 12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등의 주최로 ‘중도장애인의 일상복귀 걸림돌을 말한다’란 주제의 장애인 아고라에서 민동식 전국산재장애인단체연합회장은 “A씨의 경우처럼 중도장애인의 대부분이 가족이 있으며 아빠의 장애상태를 이해하지 못하는 등 불화로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전문 상담사의 적절한 상담과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함에도 전무한 것이 현실”임을 주장했다. 
 산재장애인의 경우 10명 중 7명 이상이 사회적 부적응이나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산업현장에서 동료의 죽음을 목격하거나 추락사고, 기계에 의한 팔 다리 절단사고 등 처참한 재해를 당하거나 이를 목격한 후 평생 지울 수 없는 기억으로 정신과적 장애를 갖고 고통받으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 회장은 “나 또한 43년 전 운동화를 신고 있는 상태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나 발목이 절단됐다, 지금도 가끔 폭발사고가 꿈에 나타나 깜짝 놀라 깬다”면서 “산재장애인의 대다수가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인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강조했다. 
 산재장애인의 대다수가 한 가정의 가장으로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으며 자녀교육 등 지출이 가장 많아지는 시기에 중도장애를 입고 있으며 원 직장 복귀가 안되는 상태에서 가난이 대물림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재해, 질병, 약물 남용 등 위험이 곳곳에 산재해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으며 국내 장애인 인구 중 89%가 중도 장애인이라는 통계도 있다.
 민 회장은 “비록 장애가 있다 할지라도 노동력이 단 1%만이라도 존재한다면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중도장애 입은 후 재활을 넘어 자활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함을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